2007년 7월 31일 화요일

자유연상. 중소규모 커뮤니티의 중요성과 포탈의 대처

블로그코리아 리퍼러, 여러분들은 어떻습니까

세계일보 서명덕 기자의 블로그에 올라온 글로서, 자신의 사이트에 블로그 코리아로부터 유입된 인원을 보여주고 있다. 내가 놀란 것은 바로 블로그 코리아 아래에 69명이 들어온 것으로 되어있는 eye.icu.ac.kr란 주소. 여기는 ICU의 학생 커뮤니티 EYE로, 내가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곳 중 하나이기도 하다. 그리고 저 유입은, 내가 리플에 링크한 글 때문으로 사료된다.
ICU 학생 자체가 별로 없기 때문에, 사실 EYE는 그리 큰 커뮤니티가 아니다. 하루 순 방문자 (낮은)수백명정도의 규모. 그럼에도 블로그 코리아에 버금가는(?) 유입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경험은 비단 이번 뿐이 아니다. 그간 나는 동영상 UCC들에 들어가 있는 "어디서 봤을까?" 기능을 살펴보면서, 의외로 내가 퍼트린 경로에서 대부분의 사람이 그 동영상을 시청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런데 내 생각에, 포탈 메인에라도 글이 뜨지 않는 이상은 다 이런식이 아닐까? 의외로 컨텐츠로 사람을 유입시키는 캐쉬카우는  중소규모의 커뮤니티일 수 있다는 것이다. 마땅한 통계를 제시할 수는 없지만, 생각외로 사람들은 검색엔진 만큼이나 '자신이 다니는 동네'에서 상당한 정보를 얻는다. 더욱 의미가 있는건, 사람들이 그런 정보를 매우 신뢰한다는 점이다. 몇번 인터넷을 뒤집었던 괴담이 퍼져 나간 상황을 살펴보면, 중소 규모사이트가 막강한 확성기로서 작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 곳엔 알바가 안 온다고 생각하는 걸까?
포탈은 온갖 화려한 컨텐츠를 포장해 사람들을 머물게 하지만, 가장 근본적인 관계- 타인들과의 어울림을 직관적으로 제공하지는 못한다. 때문에 중소 규모 커뮤니티는 가치를 부여받는다. 이러한 커뮤니티의 이용은 인터넷을 깊게 쓰는 사람일 수록 그 정도가 더하다. 인터넷 좀 한다라는 사람은, 자주 다니는 커뮤니티 한둘쯤은 있는 경우가 흔하니까(물론 싸이월드의 등장 이후 꼭 그런 것만은 아니게 됐지만). 중요한 사실은, 이들이야 말로 인터넷에서 다양한 변화를 주도하는 '우수 고객'이란 사실이다. 인터넷의 진수- 인간관계를 잘 느꼈기에, 그 가치를 잘 이해하고 있고, 그를 이용하는 활동을 한다. 컨텐츠 생산 말이다. 반면 뉴스나 보고, 피자집 전화번호나 찾으려 인터넷을 하는 사람들은 그러지 않는다. 내 주변인만 살펴봐도, 그런 얕은 유저는 인터넷에서 뭔가 할 생각 자체를 하질 않는다. 웹 2.0도 그들에겐 공허한 표어일 뿐이다. 서비스 프로바이더가 누굴 붙잡아야 할지는 말하지 않아도 아시리라 믿는다.

인터넷이 단지 정보(데이터)의 바다에서 관계를 형성하는 공간으로 거듭난다면, 중소 규모사이트는 더욱 그 가치를 얻을 것이다.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가 인터넷의 미래라는 접근은, 그런 전제를 깔고 있다. 포탈은 카페라는 형태로 이런 NEED를 만족시키려 한다. 물론 타당한 접근이다. 그러나 몇가지 걸리는 문제가 있다.

1. 사이트로의 접근성.
로그인 해서 들어가는거 아무래도 귀찮다. 스타크래프트가 최고의 취미인 내가, 임요환 팬카페에서 PGR로 옮겨탄 이유의 7할은 이 것 때문. 꼭 로그인 문제가 아니더라도, 별도 도메인 부여나, 검색에서의 노출등 보다 발전시킬 여지는 있으리라.
2. 데이터로의 접근성.
필요한 컨텐츠는 물론, 그 카페의 분위기조차 가입해야만 볼 수 있는 경우가 너무 많다. 내가 원하는 컨텐츠가 빈약한, 이른바 별거 없는 커뮤니티면 양반이다. 가입해 놓고 보니 망한지 오래고 광고글만 판치는 사이트였던 경우가 부지기수. 한마디로 "내가 원하는 커뮤니티"를 찾기가 불편하다.
3. 디자인의 자유로움.
내 편견일 수도 있겠지만, 전문가적 역량을 지닌 하드코어 유저는 카페 형태의 커뮤니티를 별로 안 좋아하더라.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내가 블로그를 안하고 계속 홈페이지 예찬을 펼쳤던 것과 비슷하지 않을까. 이른바 '내맘대로 안된다'는 점 말이다. 여기는 다음의 영토다, 여기는 네이버의 영토다 식의 강조만 숨겨도 더 많은 사용자가 생기지 않을런지.

결론. 중소규모 커뮤니티는 쫌 중요하다. 그 이유는 쫌 뛰어난 애들이 중소규모사이트에 많기 때문. 포탈의 카페는 그런 중소규모사이트에 대한 NEED를 만족시키기엔 왠지 쫌 부족하다. 쫌만 더 잘해봐라.



..뭐 알아서 잘하겠지. 뒹굴

덧.
사실 첫번째 문단까지만 생각하고 쓰기 시작한 글이었는데 쓰다 보니 이상한 전개로 빠져버렸다. 덕분에 내용이 중구난방인데, 이해 해주시길.



2007년 7월 27일 금요일

UCC라고 동영상만 있는 건 아니다. 그러나..

http://www.zeb.co.kr/
http://www.mo23.co.kr/

일반 사용자가 3D영상 혹은 입체 영상으로 UCC를 제작해 봐야 얼마나 하겠느냐는게 문제다. 물론 이들은 유튜브를 꿈꾸기 보단, na4 처럼 제휴나 프로그램 라이센스등의 수익모델을 궁구하고 있을테고 그래서 마케팅에도 별로 신경을 덜 쓰는 모양이지만- 그를 감안해도 저러한 참여도는 보기 안쓰러울 따름이다. 쓰이지 않는 기능은 아무리 뛰어나다 한들 필요없는 기능이라는 걸 인지해야 할 것이다.

우리도 기존에 없던(혹은 부족하던) UCC를 다룬다. 그것이 진정 고객에게 필요한 것인지는 모르겠다. 예측과 억측의 사이에서 희망과 불안을 저글링할 뿐이다.


2007년 7월 25일 수요일

주제가 없는 블로그라 그런가

쓸 거리가 없다..
이대로면 블로그가 망하는데 으어

덧.
사실 최근 바빠서이기도 하지만.


2007년 7월 14일 토요일

보통 창업자들에게..

가장 즐겁고 행복한 순간이 언제였느냐고 물으면, 십중팔구 창업을 준비하고 있었던 때라고 답한다 한다. 창업을 하는 사람들의 심리상, 준비 기간이란 상상 속의 그대(=성공)와 랑데뷰 중인 시간일 확률이 높다. 불안보다는 희망이 우세한 시기기에 힘들어도 기쁠 수 밖에. 그러나 현실이 찾아오면, 곧 그 형세는 역전되기 십상이다.

어제 입주하기로 한 창업보육센터內 사무실을 정리하고 꾸몄다. 힘들어도 즐겁다. 하지만 곧 이 작은 방에도 현실이란 녀석이 들이닥치겠지. 어찌 될지 모르는 불안한 벤쳐지만, 최소한 마지막까지 즐겁게 지내고 싶다. 물론 그 때 돈 더미도 안고 있으면 금상첨화.


2007년 7월 8일 일요일

해괴한 시계

UNIQLOCK

옷 프로모션용 위젯인 모양인데.. 블로그등에 시계로 삽입할 수 있다. 블로깅 하다 본게 벌서 네 번째니 효과는 나름대로 쓸만할 듯 하다. 앰네스티의 인터넷 커뮤니케이션 담당 디렉터인 스티브 다이그널트가 “사람은 자신의 페이지에 액세서리를 붙이는 것을 좋아한다. 이것은 매우 쿨하고 개성이 있으며 매우 도움이 되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는데 이 시계가 딱 그 경우인듯 하다.

제가 하려는 웹서비스는 이런 종류의 것들을 만들게 도와주는 물건입니다.


2007년 7월 5일 목요일

싸이월드와 페이스북.

데이터의 미래는 관계다. 근데 사실.. 관계도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내가 비록 데이터보다 관계가 더 중요하다라는 식으로 포스팅을 하긴 했으나, 사실 웹의 변화를 이끌어온 것은 대게 데이터이다. 텍스트 → 이미지 → 음향(MP3) → 동영상 순으로 이어진 데이터의 고도화가 얼마나 다양한 웹 서비스의 출현과 퇴장으로 이어졌는가. 관계를 상징하는 SNS들도 이런 고도화된 데이터를 메타데이터나 유통성 등의 장치로 포장하여 자사 트래픽을 발생시키고, 다시 그 힘을 데이터의 재생산으로 순환시키며 발전했다. 결국 관계는 데이터를 확보한 이후의 문제였다. 그것이 은근한 장점에 머물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었다는 것이다.

Facebook은 소셜OS입니다.

그러나 이제 관계의 반격이 시작되는 듯 하다. 그 자신이 데이터가 되어, 새로운 변화를 끌어내려 한다. 그 선봉에 페이스북이 있다. 막강한 관계 데이터를 일촌only 란 명목으로 말아 먹은 싸이월드와 대비되는 측면이다.
개인적으로 일촌공개 사진과 비밀 방명록만 즐비한 싸이월드의 미래가 썩 밝아 보이지 않는다. 애초에 사람들이 왜 싸이월드를 시작 했다고 생각하는가. 단지 원래 친했던 사람들과 시시덕 거리는 용도라면, 굳이 싸이월드가 아니어도 상관 없는데 말이다. 사생활 침해등의 이슈로부터 발생한 사회적 비판등 어쩔 수 없는 측면이 많았겠지만, 그런 외압에 순응해 가는 동안 왕창 벌어놓은 돈으로 한 게 고작해야 홈2나 메일, 지지부진한 해외 진출등이란게 문제다. 이미 한국 마켓을 독점한 싸이월드의 성장에 제동이 걸릴 것임은 예고된 바 아니었나. 그렇다면 새로운 서비스로의 변신을 준비 하던지, 아직 미 개척지인 해외 시장을 적극적으로 개척하던지 했어야 하는데 결과적으론 이도 저도 아니게 되었다. 나우콤이 나우누리로 돈 버는데 정신 없다가 초기 인터넷 붐의 주도권을 완전히 놓쳤듯- 돈을 가장 잘 벌때가 가장 미래를 걱정해야 할 때임을 싸이월드는 몰랐던 모양이다.

물론 싸이월드는 여전히 막강하다. 하지만 혹 싸이월드가 지금의 명성을 잃고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된다면.. 사람들은 이렇게 말하리라. 일촌으로 흥한자, 일촌으로 망했다- 고.


2007년 7월 4일 수요일

사무실 컴퓨터 사양

CPU AMD 애슬론64-x2 브리즈번 3600+ AM2      60,000            1      60,000
RAM E5MEMORY EK DDR2 1G PC2-6400 레드 PC2-6400      43,000            1      43,000
Main ASUS M2N8-VMX 디지탈그린텍 Micro-ATX
AM2
PC2-6400
SATA2
E-IDE
D-SUB
     56,000            1      56,000
VGA - -               -             -              -
HDD WD SATA2 160G (7200/8M) WD1600JS 정품  SATA2      44,000            1      44,000
ODD 삼성 COMBO SH-M522C/KVAF 정품벌크 E-IDE      22,000            1      22,000
Case GMC H70 풍II 블랙 ATX
M-ATX
     51,000            1      51,000
Power 스카이디지탈 파워스테이션2 PS2-400NF2 ATX      46,000            1      46,000
LCD 파워뷰 PV-170EX D-SUB
DVI
    142,000            1    142,000
합계    464,000



팀원 중 한명에게 사무실에서 쓸 컴퓨터 견적 뽑아 보라 했더니 이렇게 뽑았다.
백만원 가량 주고 486 세진 컴퓨터 샀던 시절이 생각난다..


2007년 7월 2일 월요일

미국인들은 왜 창조적일까?

아시아가 세계의 공장이 된지는 오래되었지만, 최소한 아직도 세상의 변화를 주도하는 것은 미국이다. 그 이유는 수 많은 특허와 첨단 기초과학이 다져 놓은 저변에 있다. 어떤 제품, 어떤 기술로 세상을 바꾸려건 간에 그 근본 원리는 미국에서 유래하는 경우가 많다. 굳이 라이센스 비용같은 직접적 요인을 제하더라도, 뭘 할려고 하건 미국을 거쳐야 하는 구조는 엄청난 힘이다. 냉전 팔아 때돈 벌었던 스위스처럼, 진정한 승자란 구질구질하지 않은 법이다.

어떻게 미국인들은 그렇게 훌륭한 저변을 갖추게 되었을까.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건국 이래 뛰어나고 능력있는 외국인을 자국민으로 받아들인 제도이다. 우수한 대학들이 전 세계의 영재들을 가르치고, 실리콘 밸리는 전 세계의 기린아들을 끌어 모은다. 대영제국이 카피레프트로 보급해 놓은 영어도 이 유입을 가속시켰다. 결국 아메리칸 드림은 이민자만의 것이 아니라 아메리카 자신의 것이기도 하다. 우수한 사람은 우수한 일을 이루는 법이니까. 그러나 단지 뛰어난 사람들을 모아 놓았다는 것이 대단한 창조력의 개발로 이어지는 건 아니다. 그건 한국 대학들을 유심히 지켜보면 알 수 있다.
그럼 미국은 어떻게? 내가 볼 때, 미국의 창조성은 다양한 문화권, 다양한 사고방식이 서로의 사고에 자극을 주기 때문이 아닐까 한다. 생물학적으로 설명 하자면, 다양한 개체가 만들어 내는 무한한 진화의 가능성 말이다. 전 세계적으로 넓게 분포하는 생물(예컨대 바퀴벌레 같은)들은 어떻게 그리 다양한 환경에서 생존할 수 있는가? 그들 자신이 우수해서이기도 하지만, 그 만큼 넓게 살면서 다양한 장점을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자연계에선 잡종일 수록 강한 법이다. 미국은 처음부터 그렇게 큰 나라 아닌가.

한 가지 더. 미국은 어려서 부터 용돈도 자기가 벌게 하고, 직접 할 수 있는 일은 직접 하는 경우가 많다. 영화를 보다 보면 못과 판자로 개집이나 헛간을 만들고, 페인트 칠 따위를 하는 광경이 종종 나오는데 한국에선 상상도 하기 힘든 장면. 미국인들이 서바이빙을 더 잘할거란 말을 하고 싶은 게 아니다. 요는 그들은 어려서부터 '문제를 해결하는 자세'에 대한 훈련이 되어있다는 사실이다. 주입십 교육은 어떤 문제에 대한 정답을 강요한다. 때문에 그 정답을 도출하는 '공식'이 중요해진다. 그러나 창조성, 창의성에서 중요한 건 기존의 공식을 벗어나는 독자적인 사고이다. 어떤 문제가 발생하면 그것을 직접 해결하는 것이 익숙한 미국인이 그런 사고가 발달하는 건 당연한 수순이 아닐런지.

...물론 근거는 없다.